본문 바로가기

글쓰기 교실/원고

새학년 담임 선생님 소개 프레지(종료) 플래시 지원 종료로 프레지 클래식을 이제 사용할 수 없게되었습니다. ㅠ ㅠ 새학년 담임 선생님 소개 프레지 공유합니다. (수정 가능)작년 버전하고 큰 차이는 없습니다 .^^중요 키워드는 학교를 다니는 이유, 교사의 역할, 자존감, 규칙, 진로, 소통 입니다. 1. 3월 첫날 담임 선생님을 확실하게 각인시킬 것 2. 최면 암시 추가(응?) - 최면 암시 화면에서, 잠시 기다리시면 명상 음악이 흘러 나옵니다 3. 진로 방향 제시 추가 4. 학급 규칙 제시 5. 올 한해가 갖는 의미 추가 전체 공개 + 재배포 버전입니다. 복사하셔서 수정해서 쓰시면 됩니다. 더보기 더보기
티처빌 여름방학 집합 연수 <진로 교육 세미나> 강연 PT 프레지입니다. 프레지 주소(pc에서) : http://me2.do/G7dTCWU2 #티처빌 여름방학 집합 연수 강연 PT 프레지입니다. 그림판과 프레지만을 활용해서 인포그래픽처럼 만들어 보았어요.진로 강연 주제는 "진로 교육이 직업 선택 교육으로만 가서는 안된다. 무엇보다 어떠한 삶을, 어떤 인간이 되려는지에 대한 진지한 삶의 자세를 갖도록 도와주어야 한다"입니다.PS 수정해서 재 사용하실 수 있게 전체공개 설정 해놨습니다. 더보기
탤짱샘 안태일 선생님의 진로특강 1부 아이들이, 진로 탐색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은 무엇일까요?겨울방학 특집 진로 특강 KBS 라디오 공부가 재미있다. 진로특강 1부(방송듣기) 더보기
연구수업 법과정치 사회과 - 버즈 토의 모형 - 사회적 쟁점의 합리적 의사 결정 과정 모형 다음주에 있을 연구수업에 관한 대략적인 그림을 다시 손보고 있습니다. 이제 학습지와 관련 자료를 만들어야 하는데.. 기본틀 : 버즈토의 모형 비틀기 + 사회적 쟁점의 합리적 의사 결정 과정 모형 간보기 1. 원래 버즈 토의 모형은, 토론 수업 모형입니다. 아이들이 자리 이동하는 모습만을 끌고 오기로 했습니다. 즉, 아이들은 토론 수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스터디를 하는 겁니다. 2. 36명의 아이들은 6명씩 6개조를 구성합니다. 이때 각 조당 맡은 역할이 있습니다. 이 역할은, 사회적 쟁점의 합리적 의사 결정 과정 모형의 챕터 하나씩을 담당하게 됩니다. 본팀은 교사의 지시 후에, 전문가 분과 팀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즉, 같은 역할을 맡은 다른팀의 조원들이 모여, 새로운 조를 , 임시로 짜게 됩니다. 그.. 더보기
버즈 토의 수업, 의사결정 수업 모형, 사회적 쟁점의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 연구수업 법과 정치 2학기 수업시수가 은혜롭게 아주 적기 때문에, 이것 저것 맡아서 하고 있는데요그중 하나가 연구수업입니다. (법과 정치, 고 1) 체질적으로, 이런것 정말 안맞지만, 운명은 운명이기에...-- 현재 구상중인 그림은, 버즈토의 수업 모형을 비틀어서 기본틀에 두고사회적 쟁점에 관한 의사결정 과정 모형을 비틀어서 기본틀 -2에 두려고 합니다. 목적은, "너도 뭔가 알려주고, 친구에게 배우고, 그걸 모아 너의 시사적 관점을 갖을 수 있다" 에, "지식 얻기"에 집단 토의 보다는, 개인 사고 및 인성 발달에 주력 함과 동시에 교사는 들어오는 질문을 받아주고, 전체 상황 관찰과 개입만 담당하면서 연구수업을 생(날)으로 패스하려는 데에 있습니다. 아직 계속 스케치 중입니다만 1. 원팀 구성 (6명 정도) - 사회적 쟁.. 더보기
탤짱샘의 청소년 진로특강 프레지 자료 <진로 ,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진로 탐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나를 이해하고 나와 화해하고 나를 사랑하는 것임을강조하는 특강 자료입니다. 더보기
일반사회 임용고사 합격수기 2편 합격 흥분이 채 가시지 않은채 쓴 글이었나봅니다. 이 후 현장에서 불어 닥칠 인생은 실전이야 좀, 많이, 를몰랐으니까요. 혹 도움될까 남겨둡니다.1편 http://tellzzang.com/74 이번 2편에서는 수다디, 파이널 점찍기 노트, 기출문제분석, 주요 수험도서를 썼습니다. 예상하지 못했던 삼편은 각 과목별 학습방법과 문제풀때, 현장에서 느낀점을 비롯한 번외편 수험에피소드가 나올거에요 마치 귀여니가 된 듯한 기분입니다. ^^ 예비 선생님들! 화이팅이에요!! 6. 수다디 앞서 말씀 드린 것과 같이 저는 ‘자멸하는 스터디’에 대한 공포감에 스터디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었습니다.(사람들이 절 안껴준거 아니냐 의심하는 눈빛이 여기 저기 ㅋㅋ) 대신 [수다디]를 적극 활용했었습니다. 수다디 : 남들이 그냥 보.. 더보기
생명 사다리 캠페인 인터뷰 원고 (자살 극복, 국회 방송) 인터뷰 다시 보기 : http://tellzzang.com/4041. 뉴스에서 어린 학생들이 자살을 했다는 소식을 볼 때 마다 어떤 느낌이 드시는지 - 죄스런 기분이 듭니다. 부모님도, 친구들에게도 말하기 힘들었던 고민들을, 행여 어렵게 내게 찾아와 여러가지 신호들을 내게 보냈는데, 내가 별거 아니라고 생각해서,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학생들은, 아직 자기 삶에 대한 주도권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그 아이들이 그렇게 힘든 고민을 하게 된것은 어른들, 그리고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사회라는 시스템이 만든 고민일텐데, 아이들은 자신이 만든 고민이 아닌 고통으로 인해 그런 결정을 해야한다는 것에, 어른으로서, 그리고 곁에 항상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어야할 한명의 선생님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