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교실

기회비용, 명시적비용, 암묵적비용, 매몰비용 기회비용이란, 무언가를 선택했을 때 포기해야 하는 것의 가치(값어치, 편익, 효용)를 말합니다. 만약 우리가 짜장면과 짬뽕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했을 때, 짜장면을 선택하게 되면 짬뽕을 포기해야 하죠. 바로 그 '포기한 것의 가치'를 기회비용이라고 합니다. 1 기회비용 = 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 기회비용은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의 합으로 구합니다. 명시적 비용이란 당장 주머니에서 나간 돈을 말합니다. 눈에 확실하게 돈이 나가는게 보이기 때문에 (명시) 명시적 비용이라고 합니다. 암묵적 비용이란 눈에 보이지 않지만(암묵) , 내가 이 선택을 하지 않고, 저쪽 선택을 했을 때 얻을 수 있었던 편익(만족감, 효용, 이득)을 암묵적 비용이라고 합니다. 왜 이렇게 복잡하게 구해야할까요? 예를 들어볼게요. .. 더보기
통합사회 ,사회적 관점과 윤리적 관점을 이해하기 힘들어 하는 친구들에게 설명과 예시 (시간적 관점, 공간적 관점, 사회적 관점, 윤리적 관점, 통합적 관점)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4가지 관점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친구들이 있어서 추가 설명해 드립니다. 주로 윤리적 관점이 뭔지 잘 모르겠다는 친구들이 많았습니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막히는 친구들을 위해 다시 설명해 드릴게요. 리슨! 1 자연 현상과 사회 현상 -자연 현상은 인간의 생각이나 결정이 전혀 들어가지 않은 현상들입니다. 하늘에서 비가 내리고, 땅에 지진이 발생하고, 태풍이 불어오고 백도가 되면 물이 끓는 것. 인간이 "와이 씨 비야 내려라" 한다고 비가 내리는 것도 아니고 "태풍이 멈춰라!" 한다고 해서 태풍이 멈추는 게 아니죠. 자연 현상은 인간의 의지나 생각이나 결정이 들어가지 않은 현상입니다. 흔히들,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 물화생지 같은 현상들이죠. -사회현상이란 반대로 인간.. 더보기
우리 헌법 쉽게 읽기로 사회 수업 끝내기(민주 시민 교육) 주소 : http://me2.do/GDeLyzqP 우리나라 헌법을 쉬운 말로 바꿔 함께 읽고, 배경 상식을 나눠보는 새로운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나라의 주인이라면 반드시 한번은 읽어 봐야할 우리 헌법. 사회 수업, 민주 시민 교육에 작은 도움되길 바랍니다. (영세 1인 가내 수공업자의 #샘튜브) 더보기
지방선거 투표 용지는 모두 몇장일까요? (그대가, 세종시, 제주도에 살지 않는다면? 지방선거 투표용지는 총 일곱장입니다) -끝- (영상 강의는 이쪽으로 오세요 https://goo.gl/jcBm8C ) (왜 7장인지 궁금하다면 계속 스크롤 권장합니다.) 4년마다 찾아오는 것은 월드컵만이 아닙니다. 지방선거도 돌아온답니다. 생활의 모든 스트레스의 근원은 정치에서 시작되는 것, 다 아시죠? 그런데, 우리의 일상, 그러니까 출근하고, 애 키우고, 애 낳고, 퇴근하고, 쓰레기 버리고, 공원가고 이런 모든 그야 말로 우리네 삶에 직결되는 것은, 머나먼 태권브이 여의도 국회의사당도, 청와대도 아니랍니다. 바로 – 지방자치랍니다. 나라의 주인답게, 또 동네의 주인답게 투표권을 어떻게 행사하는지 꼭 알아야하는 것들을 살펴 볼게요. 지방선거 투표용지가 몇장인.. 더보기
헌법개정 128조 ~ 130조 128조. 헌법개정안 발의는 대통령이 제안하거나, 국회의원 재적의 과반수 동의가 있을 때 진행됩니다. 대통령의 임기를 늘리거나 중임제로 변경하는 헌법개정은 현직 대통령에게 효력이 없습니다. 129조. 헌법개정안이 발의되면 대통령은 20일 이상 국민들에게 공고해야 합니다. 130조. 헌법개정안이 공고된 후 60일 안에 국회는 헌법개정안을 의결해야 합니다. 의결 정족수는 국회의원 재적 3분의 2이상입니다. 국회에서 헌법개정안이 의결된 후 30일 이내에 국민투표를 실시합니다. 정족수는 국회의원 유권자 과반수의 투표참여, 투표자 과반수입니다. 헌법개정안이 국민투표를 통과하면 대통령은 즉시 공포하여야 합니다. 헌법 원문 제128조 ①헌법개정은 국회재적의원 과반수 또는 대통령의 발의로 제안된다.②대통령의 임기연장 .. 더보기
경제 119조 –127조 119조 우리나라의 경제 질서는 주권자 한사람 한사람과 기업들의 경제적 자유와 창의를 존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우리나라는 균형있는 국민 경제 성장과 경제 안정 또한 적정한 소득 분배를 유지하기 위해 국가가 경제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세력이 시장을 지배하거나 경제력을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가 경제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경제 활동 주체들간의 조화를 통해 경제 민주화를 이루기 위하여 경제에 규제와 조정을 가할 수 있습니다. 광물, 중요한 지하자원, 수산자원, 수력 등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연 환경등은 법률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국가가 그 자원들을 채취, 개발하거나 특허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땅과 자원은 국가의 보호를 받습니다. 국가는 균형있는 개발과 이용을 위해서 .. 더보기
지방자치 117조 118조 117조 지방자치단체는 주민들의 복지와 이익을 위해 사무를 담당하고 지자체의 재산을 관리합니다. 또한 법률의 범위 안에서 지방 자치를 위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는 법률로 정합니다. 지방의회를 만듭니다. 지방 의회를 어떻게 조직할지, 권한은 무엇인지, 지방 선거는 어떻게 운영할지, 지자체장은 어떻게 선임할지, 지방정부를 어떻게 조직하고 운영할지는 법률로 정합니다. 헌법 원문 제117조 ①지방자치단체는 주민의 복리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관리하며, 법령의 범위안에서 자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 ②지방자치단체의 종류는 법률로 정한다. 제118조 ①지방자치단체에 의회를 둔다. ②지방의회의 조직·권한·의원선거와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임방법 기타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과 운영.. 더보기
선거관리위원회 114조 -116조 114조 선거, 국민투표를 공정하게 관리하고 또한 정당과 관련된 여러 사무들을 공정하게 담당하기 위하여 별도의 독립된 헌법기관인 선거관리위원회를 둡니다.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는 9명의 위원으로 구성합니다. 3인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3인은 국회에서 선출하고 3인은 대법원장이 지명합니다. 중앙선관위 위원장은 위원들이 그 안에서 선출합니다. 중앙선관위원의 임기는 6년입니다. 중앙선관위 위원은 정당에 가입하거나 정치적 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 중앙선관위 위원은 탄핵,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파면되지 않습니다. 중앙선관위는 선거관리 규칙, 국민투표 관리 규칙, 정당 사무 처리 규칙, 선관위 내부규율을 제정할 수 있습니다. 단, 법률을 어겨서는 안됩니다. 각급(지방 등) 선관위를 어떻게 조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