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로, 고민

스무살이 되면, 어른이 되어 있을까 – 어른 이 된다는 것 스무살이 되었다고 상상해보자 여러 삶의 ‘트리’가 있겠지만 대학생이 되었다고 생각해보자. 그 다음, 나의 스무살 대학생활을 상상해보자. 나는 무엇을 하고 있을까. 내 마음대로 술과 담배와 화장과 두발과 복장을 코스튬하고 있을까? 아르바이트를 하며 용돈을 벌고 있을까? 맘에드는 이성친구와 교제하고 있을까? 미팅 소개팅 작업 전선에 뛰어 들고 있을까? 학점을 잘 받기 위해서 도서관에서 밤샘 공부를 하고 있을까? 동아리? 취업준비? 어학 연수? 그래 많은 삶의 모습이 너와 우리를 기다리고 있겠지. 이제 물어 보자. 스무살이 되면 우리는 ‘어른’이 되어 있는 것일까? 대학생이 되면 어른이 되어 있는 것일까? 어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 70-90년대 대학생들과 요즘 대학생들의 모습 차이에서 뭔가 단서를 발견할.. 더보기
선택에 대한 책임 그리고 피드백 - 에필로그 어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 올바르게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자기 삶의 주도권을 갖고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청소년 시기는, 이제 나의 선택, 그것이 시작되는 시기다. 그리고 모든 선택에는 책임이 따른다. 이 명제를 받아들이는 시기이고, 또 선택이라는 행동을 하고, 책임에 대한 압박을 받는 나이다. 사람마다, 그 성장의 속도가 다르듯이, 몸이 커가는 것, 선택을 해야한다는 것에 대한 압박, 책임져야한다는 압박을 느끼는 경우가 저마다 다르다. 아예, 그 압박을 느끼지 못하는 천진 난만한 아이들도 있고, 지나친 압박에 우울증에 시달리는 친구들도 있다. 그리고 그 선택에 있어서 주변의 과도한 시선에 부담을 느끼는 친구들도 많다. 그렇다. 그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우리는 지금 삶의 커다른 갈림길 앞에 서있다... 더보기
프랑스 '고등학교' 졸업 시험 Q1-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한가? Q2-꿈은 필요한가? Q3-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까? Q4-지금의 나는 내 과거.. "질순 없쟎냐? 같은 고딩인데?" 1장 인간(Human) Q1-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한가? Q2-꿈은 필요한가? Q3-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까? Q4-지금의 나는 내 과거의 총합인가? Q5-관용의 정신에도 비관용이 내포되어 있는가? Q6-사랑이 의무일 수 있는가? Q7-행복은 단지 한순간 스치고 지나가는 것인가? Q8-타인을 존경한다는 것은 일체의 열정을 배제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Q9-죽음은 인간에게서 일체의 존재 의미를 박탈해 가는가? Q10-우리는 자기 자신에게 거짓말을 할 수 있나? Q11-행복은 인간에게 도달 불가능한 것인가? 2장 인문학(Humanities) Q1-우리가 하고 있는 말에는 우리 자신이 의식하고있는 것만이 담기는가? Q2-철학이.. 더보기
* 인생 전체 플랜없이 음대를 지망하려는 너에게. 서울 시립 청소년 센터 유스내비 사이트 놀라운 멘토링에 기고 되었습니다. http://클릭goo.gl/qS4CvD 음대를 가고자 하는 그대를, 부모님과 선생님이 응원은 못해줄망정 툭하면 반대하고 아니라고 그 길 말고 다른길 알아보라고 하셔서 상처, 많이도 받았을 그대에게, 혹은 그대 친구에게 보내는 메시지. 리슨. 늘 그렇듯, 오늘은 냉정해지는 법을, 냉정해 지고 난 뒤에 찬찬히 자신을 돌아보게끔 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구요. 손해 볼 것 없답니다. 이 잔소리 듣고 나서 어차피 결정은 그대가 할테니까요. 이런 저런 의견과 관점을 가져 보는 것은, 손해 볼 거 없는 거니까요. 음대에 진학하려는 그대를 막는 부모님의 논리는 무엇인지, 그리고 음대에 진학하고 싶어하는 그대 논리는 무엇인지 살펴 보면서, 그대의 .. 더보기
이런 남자, 이런 여자 절대로 만나지 마라! 1부. 이런 “사람” 조심하자. (나쁜 여자, 나쁜 남자가 끌리는 이유, 그리고 사회성) 원체, 이런것과 관련된 조언들은 많으니까 샘은 조금 다른 쪽으로 접근하는 거라는거 일단 알아두고. 이런 조언들은 많이 들을수록 좋으니. 그럼. 리슨. 남자와 여자가 만나서 사랑을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거다. 여기서 그 이야기를 다 풀 수는 없으니, 하나만 기억을 하자. 남자와 여자가 만난다, 사귄다는 것은 결국 하나의 TEAM을 구성한다는 거다. 이걸 기억해두면, 이 모든 논의가 쉽게 풀려간다. TEAM이라는 것은 사회 시간에 배웠던, “사회 집단”을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 즉 다시말하면 기본적으로 남녀의 문제를 “집단”의 문제로 접근해 보면, 시각이 제대로 보일 수 있다는 거다. 즉, 나쁜여자, 나쁜 남자를 구분하는 눈을 갖는 가장 키워드는 이거다. [사회성] 그렇다. 바로 이거다. .. 더보기
# 영어 공부가 너무 힘들어요 (영어 광풍, 영어 짜증나요) 에잇. 샘도 영어 무지 못해. ㅠ.ㅠ 한번은 말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샘한테 와서는, A 레코드 가게가 어디 있냐고 묻는거야. 아, 그건 어떻게 알아 들었냐면, 관광 가이드 책을 펼치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더라고. 그리고 영어로 뭐라 뭐라 하는데, 알아 들을 수가 있어야지. 스마트폰 열었다. 지도 어플 실행 시키고 그 왜 길거리 모습 나오게 하는 거 말이다. 촥촥 손 짓 발 짓 써서 말했지. 뿌듯했다. 그런데 문제는, 아 이거 정말 챙피하긴 했는데 오른쪽으로 돌아서 가세요,를 말하고 싶었는데 손 짓은 오른쪽으로 꺾으라고 해 놓고서는 “턴 레프트” 해버렸다. 그 외국인 오잉? 하는 표정을 짓길래, 아차 싶어서 부랴 부랴 “오 오 소리 소리 턴 롸잇” 했지. 댕큐 댕큐 계속 하더라. 영어 말이다. 사실, 잘하면.. 더보기
22. 할줄 아는게 하나도 없어요 (내 자신이 한심해요, 재능이 없어요, 이대로 어른이 되는게 두려워요)) 날 때부터 다 할 줄 알면 그게 사람이냐. 예수님이나 부처님급이지. 네가 할 줄 아는게 왜 없냐. 천천히 기억을 더듬어라. 놀랍게도, 넌 젓가락질을 할 줄 안다. 외국인들이 젓가락질 배울려고 얼마나 노력하는지 아느냐. 넌 스마트폰을 만질줄 알고 컴퓨터로 이메일 보낼 줄도 안다. 샘, 우리 부모님한테 스마트폰 만지기와 이메일 보내는 법 설명드리려다, 그만, 부모님께 짜증마저 부린적도 있다. 지하철 1회용 버스카드 발급받는 거랑, 충전하는 거 할 줄 알지? 샘, 일전에 서울역에 일본인들에게 버스카드 발급기 앞에서 설명해 주느라, 1년 동안 추어야 할 춤을 몽땅 추면서 (우리는 그것을 봐리랭귀지, 라고 한다) 설명했지. 넌 올해 몇 살이니? 아직 스무살은 안되었을 것 같아. 그 나이에, 벌써부터 잘 하는게 있.. 더보기
21. 나는 누구인가? 이 질문에 고민하는 너에게 (내가 누군지 모르겠어요. 자아 발견, 자아 탐색) 일전에 무한도전에서 인도특집이 있었다. 인도로 떠난거지. 거기서 유재석 형님이 계속 멤버들을 다그쳐. 우리가 이곳에 온 것은 내가 누군이지, 나는 어디로 가는지를, 자아를 찾기 위해서 왔는데 왜 다들 이렇게 진지하지가 못하냐면서. 그거 보면서 피식했다. 어느 다큐에서는, 스님이 여고생에게 계속 묻더라. 너는 누구냐. 여고생이 누구 누구입니다, 라고 대답하니, 그건 네 이름이지. 저는 학생입니다, 라고 대답하니, 그건 네 신분이고. 그러더니, 네가 너라고 인식하고 다니는 그 몸뚱이를 끌고 다니는, 너는 누구냐고 대답하라고, 하시더라. 그거 보면서 어라, 했다. 왜냐면, 질문 자체가 틀렸으니까. 그건 평생가도 대답 못하는 질문이야. 이런 느낌인거지. ‘대한민국의 국왕은 대머리 인가요?’같은 질문이야. 질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