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을 쓰려 애쓰지 말기
글을 쓸 때 마음가짐을 어떻게 가지면 좋을지, 글을 쓸 때 지키면 좋을 글쓰기 팁에 관해서 들려드릴 이야기가 있습니다. 좋은 글을 쓰려 애쓰지 말기, 초고는 가벼운 마음으로 쓰기, 결론을 찾아가는 글쓰기 등이 제가 알려드릴 글쓰기 팁입니다.
좋은 글을 쓰려 애쓰지 말자. 나쁜 글을 안 쓰려고만 신경 쓰자.
글을 잘 쓰려고 하면 희한하게 글 자체가 안 써집니다. 어쩔 수 없이 드는 마음이긴 합니다. 글은 결국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씁니다. 글을 공개하면 반드시 누군가 읽습니다. 글쓰기 연습을 전혀 하지 않았을 때는, 내 글을 남에게 보여주는 일이 대수롭지 않았습니다. 그냥 생각나는 대로 적고 쓴 김에 글을 공개했었습니다. 그런데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글 연습을 하면 할수록 남에게 내 글을 보여주는 일이 부담스럽습니다. 잘 쓴 글을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면 글을 쓰는 일 자체에 스트레스가 생깁니다. 어떻게 하면 글을 더 잘 써서 좋은 글을 사람들에게 보여줄까, 이런 생각이 시작되면 키보드 위에 손가락을 걸쳐놓고 멍하니 모니터만 바라보다 시간만 보냅니다. 내가 생각하는 수준의 글이 생각만큼 써지질 않으니 답답하기만 합니다. 그리하여 강력한 모순에 빠지게 됩니다. 글을 잘 쓰고 싶어서 글쓰기 연습을 시작했는데, 정작 연습을 하면 할수록 글을 쓰는 일이 부담스러워집니다.
글쓰기 연습을 하면 할수록 좋은 글과 그렇지 못한 글을 평가할 수 있는 눈이 생깁니다. ‘글 시력’이 좋아지니 글을 쓰는 순간순간마다 방금 쓴 자신의 글을 냉혹하게 평가하게 됩니다. 영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이대로 글을 계속 써봤자 성에 안 차는 글만 나올 것 같습니다. 글을 써 내려갈 마음이 사라집니다. 쓰고 싶은 글이 마음속에 꿈틀거리지만, 몸 밖으로 글을 꺼내는 일이 너무도 곤욕처럼 느껴집니다. 모순도 이런 모순이 없습니다. 글을 잘 쓰고 싶어서 글쓰기 연습을 시작했는데 오히려 글이 안 써지다니.
생각을 조금만 바꾸면 글쓰기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줄어들게 됩니다. 스트레스가 줄어드니 글이 술술 써집니다. 이제 우리는 좋은 글을 쓰려고 애쓰지 말아요. 우리는 전문 작가가 아닙니다. 그리고 전문 작가라 하더라도 늘 좋은 글만 쓰는 것도 아닙니다. 평생을 글 쓰는 일에 몰두한 전문 작가들도 좋은 글을 쓰기 힘들어합니다. 그러니 우선 마음을 비우세요. 냉혹한 ‘글 시력’을 내려놓아요. 글을 잘 쓰려고 애쓰지 말고, 나쁜 글을 쓰지 않겠다고 살짝 신경 쓰면 될 일입니다. 좋은 음식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기에, “요리를 참 잘한다.”는 기준도 제각각입니다. “세계 최고의 요리를 만들 거야.”라는 생각으로 저녁 식사를 만들려고 하다 보면 다음 날 새벽이 되어도 요리를 완성하기 힘들 겁니다. “먹기 힘든 요리만 만들지 말자. 적당히 맛있고 허기를 채울 정도의 요리를 해보자.”라는 마음을 가지면 부담 없이 먹을만한 요리를 뚝딱 만들 수 있습니다. 요리 대접을 받은 지인들도 만족할 겁니다.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좋은 글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글을 참 잘 쓴다.”라는 기준도 제각각입니다. “불멸의 명문을 쓰고 말 거야.”라는 생각으로 키보드를 붙잡고 있으면 다음 날 아침이 되어도 A4 반장도 채우지 못합니다. “읽기 힘든 글만 쓰지 말자. 적당히 재밌고 내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을 정도의 글을 써보자.”라는 마음을 가지면 부담 없이 ‘읽을만한’ 글을 뚝딱 쓸 수 있습니다. 내 글을 읽은 친구들도 고개를 끄덕이며 ‘좋아요’를 보내줄 겁니다. 좋은 글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하지만 ‘나쁜 글’, ‘못 쓴 글’의 기준은 모두가 동의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모든 글의 목표는 같기 때문입니다. 글을 읽은 사람의 마음과 머리를 흔들어 삶에 변화가 생기게 하는 것이 글의 목표입니다. 그런데 글 자체를 ‘해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면 그 글은 못 쓴 글이고 나쁜 글입니다. 하늘의 끝은 잴 수 없습니다. 우주의 끝을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바닥의 위치는 누구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을 쓸 때 하늘에 닿으려 애쓰지 말고 바닥에 닿지 않으려고만 신경 쓰면 됩니다.
<못 쓴 글, 나쁜 글의 기준> 한 번에 읽기 어려운 글 두서없는 글 불친절한 글 끝이 어정쩡한 글 |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은 결코 좋은 글이 될 수 없습니다. 무슨 말을 하는지 알 수가 없어서 읽었던 부분을 다시 읽어야 하는 글은 못 쓴 글입니다. 주어와 서술어가 너무 떨어져 있는 글, 꾸미는 말과 꾸밈을 받는 말이 멀리 있는 글, 복문을 지나치게 남발하는 글을 쓰지 않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가독성을 높이고 싶다면 문장 뭉치기 공식에 맞춰서 ‘세트’를 만들면서 글을 전진하면 됩니다.
두서없는 글을 두고 잘 쓴 글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이 이야기 했다가, 저 이야기 했다가 도대체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글은 나쁜 글입니다. 짜임새 있는 글일수록 글에 전체적으로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짜임새 있는 글을 쓰고 싶다면 글쓰기 공식을 활용해서 글을 쓰면 그만입니다.
친절하지 못한 글은 못 쓴 글입니다. 글을 쓰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당연히 독자도 알겠다고 가정하고 중요한 내용을 거론하지 않고 쓴 글은 나쁜 글입니다. 자신이 얼마나 많이 아는지 자랑하는 것일 뿐입니다. 자기 자랑하는 글을 사람들이 무엇 하러 시간 내서 읽어줄까요. 친절한 글을 쓰고 싶다면 글을 쓰기 전에 이 글을 읽을 사람이 누구인지 먼저 정하세요. “요즘 아이들 트랜드에 관심은 많지만, 아직 정보가 부족한 선배 선생님들도 읽을 수 있게 글을 써보자.”처럼 독자를 먼저 상상하고 글을 시작하세요. 불친절한 글은 그저 넋두리 혼잣말일 뿐입니다. 글은 남에게 읽히기 위해서 씁니다.
끝을 애매하게 마무리한 글은 못 쓴 글입니다. 글을 다 읽고 난 독자가 “아니? 그래서 어쩌자고?” 하는 생각을 품게 해서는 안 됩니다. 글을 시작하기는 쉽습니다. 하지만 글을 마무리 짓는 일은 어렵습니다. 글을 어떻게 마무리 해야 할지 몰라서 태그로 도배하려 하지 마세요. ‘나만의 글쓰기 공식’을 만들기 전까지는, ‘마무리 공식’을 활용해서 글을 제대로 마무리하면 됩니다. 한두 문장으로 전체 글을 정리하고, 거시적인 밑그림을 제시하면 됩니다. 여운을 남기고 싶다면 당장 구체적인 계획이나 행동을 적으면 그만입니다. 독자가 내 이야기에 공감하든 하지 않든, 동의할지 안 할지는 나중 문제입니다. 글을 다 읽고 나면 글이 ‘마무리’되었다는 느낌을 받도록 글의 매듭을 확 조여주세요.
글을 쓸 때 꼭 기억하세요. 글을 잘 쓰려 하지 않겠다, 못 쓴 글만 쓰지 않으려 신경 쓰겠다. 그러면 글을 쓸 때 느끼는 부담감이 크게 줄어듭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중요한 사실을 기억하세요. 초고를 쓸 때는 이마저도 신경 쓰지 마세요. 일단 그냥 손이 가는 대로 죽죽 글을 밀고 나가면 됩니다. 초고는 버리라고 쓰는 글이기 때문입니다.